1. 변수

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값(data)을 저장하기 위해 선언하는 것이다.

 

<특징>

1) 변수의 이름은 알파벳, 숫자, _ , $ 으로 구성된다.

2) 변수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3) 변수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키워드도 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이름 사이에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

5) 변수명을 정할 때에는 변수의 역할에 어울리는 의미 있는 이름을 지어야 한다.

 

2. 자료형

 

  정수형 문자형 실수형 논리형
1 byte byte     boolean
2 byte short char    
4 byte int   float  
8 byte long   double  

 

변수가 저장되는 공간의 특성에 따라 자료형을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그리고 변수를 선언하는 동시에 초기화해주는 것이 좋다.

ex) int num;

     float average = 0.2f;

 

3. 상수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선언하는 것이다.

상수를 선언할 때에는 변수 선언 앞에 final 키워드를 붙이면 된다.

ex) final double PI = 3.14;

     final int MAX_NUM = 100;

 

**max num을 변수와 상수로 정의할 때

변수 → int maxNum;

상수 → final int MAX_NUM;

 

이렇게 변수는 소문자로, 띄어쓰기 해야 할 부분을 대문자로 적어주고,

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적고 띄어쓰기 해야 할 부분에 언더바( _ )를 적는다.

 

4. 리터럴

리터럴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모든 숫자, 값, 논리값을 말한다.

예를 들면 10, 3.14, 'A', true 등이 있다.

리터럴에 해당하는 값은 특정 메모리 공간인 상수 풀 (constant pool)에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기서 가져와서 사용된다.

 

5. 형 변환

자료형은 각각 사용하는 메모리의 크기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이 대입되는 경우 형 변환이 일어난다.

 

1) 묵시적 형 변환

작은 수에서 큰 수로, 덜 정밀한 수에서 더 정밀한 수로 대입되는 경우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일어난다.

ex) long num = 3;  // long은 8byte 정수이고, 3은 4byte 정수인 int타입이다. long이 더 크기 때문에 3 뒤에 L을 명시할 필요가 없다.

 

2) 명시적 형 변환

묵시적 형 변환의 반대의 경우로, 변환되는 자료형을 명시해야 한다. 이때 자료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ex) double dNum = 3.14;

     int num = (int) dNum;   // double이 실수형으로 정수형인 int보다 더 정밀하기 때문에, double타입인 dNum을 int타입인 num에 대입할 경우 dNum 앞에 (int)를 명시해야 한다.

 

6. 기본 연산자

 

대입 연산자 변수에 값을 대입 num = 10;
단항 연산자 항이 한 개 ++num;
이항 연산자 항이 두 개 num1 + num2;
삼항 연산자 항이 세 개 (5 > 3) ? 1 : 0;

 

  • 대입 연산자: 변수의 값을 대입하는 연산자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다.
  • 부호 연산자: 양수 / 음수를 표현하거나 값의 부호를 변경한다. 변수 앞에 +, -를 사용한다고 해서 변수의 값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변수의 값을 변경하려면 대입 연산자로 값을 변경해야 하고, 부호 연산자는 그 단계에서의 부호만 바꿔줄 뿐이다.
  • 산술 연산자: 사칙연산에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사칙 연산자: +, -, *, /

** %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 숫자 n의 나머지는 0 ~ n-1 범위의 수이므로 특정 범위 안의 수를 구할 때 자주 사용한다.

'Softwar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3의 배수의 합 구하기  (0) 2021.01.11
[JAVA] 클래스와 객체  (0) 2021.01.10
[JAVA] 조건문, 반복문  (0) 2021.01.10
[JAVA] Eclipse 단축키  (0) 2021.01.10
[JAVA] Eclipse 설치  (0) 2021.01.10
Alt + Left (Right) 이전, 이후 작업 화면
Alt + Shift + A 세로 블럭 지정이 가능한 모드로 변경
Alt + Shift + R Refactoring (이름 변경)
Alt + Shift + J 자동으로 주석 달기 (메소드나 멤버변수에 포커스 두고 실행)
Ctrl + Space 입력 보조장치 강제 호출
Ctrl + L 특정 줄로 번호 이동
Ctrl + K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블럭으로 설정한 후 키를 누름
Ctrl + / 라인 주석 설정 / 해제
Shift + Ctrl + / 블록 라인 주석 설정
Shift + Ctrl + \ 블록 라인 주석 해제

 

굵은 글씨는 지금까지 배우면서 자주 쓴 것이다.

'Softwar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3의 배수의 합 구하기  (0) 2021.01.11
[JAVA] 클래스와 객체  (0) 2021.01.10
[JAVA] 조건문, 반복문  (0) 2021.01.10
[JAVA] 변수, 상수, 형변환, 연산자  (0) 2021.01.10
[JAVA] Eclipse 설치  (0) 2021.01.10

1. JAVA 설치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downloads.html

여기서 JDK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버전은 SE가 가장 기본적인 에디션이므로 이걸 다운받으면 된다.

 

2. 이클립스 설치

https://www.eclipse.org/

 

The Community for Open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 The Eclipse Foundation

The Eclipse Foundation - home to a global community, the Eclipse IDE, Jakarta EE and over 375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runtimes, tools and frameworks.

www.eclipse.org

3. 이클립스 실행

1) 프로젝트 파일 생성

 

 

저기 화살표로 가리키는 New를 눌러서 가장 위에 있는 Java Project를 누르면 새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

그러면 자기가 원하는 파일을 default location으로 지정할 수 있고, 프로젝트들이 그곳에 폴더 형식으로 저장이 된다.

 

 

2) Class 생성

 

프로젝트를 생성한 다음, 그 프로젝트 안에 class를 생성해야 한다.

JAVA는 한 파일에 하나의 클래스를 두는 것이 기본이다. 여러 개의 클래스가 존재할 경우 public 클래스는 한 개이다.

JAVA의 모든 코드는 클래스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클래스를 생성하면 된다.

 

 

class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Name 부분에 클래스 이름을 지정해주면 된다. 보통 첫글자와 띄어쓰기 부분을 대문자로 작성한다.

체크되어있는 부분은 main함수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부분이다. 

자동으로 체크되어있지 않고, 체크하지 않았더라도 main함수 부분에 그냥 저대로 작성해주면 된다.

 

 

class를 생성한 뒤 뜨는 창이다.

 

3) Hello, World!

 

Java의 print문은 System.out.println(); 이다.

오늘 배운 놀라운 점. sysout 까지만 치고 Ctrl + Space bar 를 누르면 자동으로 완성해준다. 개꿀.

 

 

코드를 작성하고 왼쪽 위에 있는 초록색 Run버튼을 누르면 저렇게 아래 콘솔에 실행이 된다. 

'Softwar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3의 배수의 합 구하기  (0) 2021.01.11
[JAVA] 클래스와 객체  (0) 2021.01.10
[JAVA] 조건문, 반복문  (0) 2021.01.10
[JAVA] 변수, 상수, 형변환, 연산자  (0) 2021.01.10
[JAVA] Eclipse 단축키  (0) 2021.01.10

+ Recent posts